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8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서울특별시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8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
2. 선거 결과
2.1. 서울특별시 제1선거구 (종로구)
2.2. 서울특별시 제2선거구 (중구)
2.3. 서울특별시 제3선거구 (동대문구 갑)
2.4. 서울특별시 제4선거구 (동대문구 을)
2.5. 서울특별시 제5선거구 (성동구 갑)
2.6. 서울특별시 제6선거구 (성동구 을)
2.7. 서울특별시 제7선거구 (성동구 병)
2.8. 서울특별시 제8선거구 (성북구 갑)
2.9. 서울특별시 제9선거구 (성북구 을)
2.10. 서울특별시 제10선거구 (성북구 병)
2.11. 서울특별시 제11선거구 (서대문구 갑)
2.12. 서울특별시 제12선거구 (서대문구 을)
2.13. 서울특별시 제13선거구 (서대문구 병)
2.14. 서울특별시 제14선거구 (마포구)
2.15. 서울특별시 제15선거구 (용산구)
2.16. 서울특별시 제16선거구 (영등포구 갑)
2.17. 서울특별시 제17선거구 (영등포구 을)
2.18. 서울특별시 제18선거구 (영등포구 병)
2.19. 서울특별시 제19선거구 (영등포구 정)


1. 개요[편집]


항목제8대 국회의원 선거서울특별시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2. 선거 결과[편집]



2.1. 서울특별시 제1선거구 (종로구)[편집]


서울특별시 제1선거구
종로구 일원[종로]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기영(張基榮)36,4042위

ta-hash-start=w-9a8a7205e2aa8f927bd0ee99371f8e41[[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43.47%낙선
2권중돈(權仲敦)46,7681위

ta-hash-start=w-daf8545d125eeadc2c983cb6eb880739[[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55.84%당선
5권주열(權柱烈)2794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0.33%낙선
6신정수(申正秀)2943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35%낙선
선거인 수130,096투표율
78.34%
투표 수85,571
무효표 수1,826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8대총선장기영.png
파일:권중돈 8대총선.jpg
파일:신정수8.jpg


정치 1번지 종로구답게, 공화당은 거물인 장기영 한국일보 회장 및 전 경제기획원 장관을 공천했다. 마침 한국일보 사옥도 종로구에 있었다. 하지만 야권 초강세 지역인 서울시의 민심을 극복하기는 역부족이었고, 결국 신민당 권중돈 전 의원이 승리했다.


2.2. 서울특별시 제2선거구 (중구)[편집]


서울특별시 제2선거구
서울 중구 일원[중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인각(朴仁珏)19,8992위

ta-hash-start=w-8e532663cf9bad68a3f0cc32cc971d11[[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40.68%낙선
2정일형(鄭一亨)28,6851위

ta-hash-start=w-dbe5b26b5ed29d8c0e1daa96f2a92370[[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58.65%당선
3한덕순(韓德淳)1693위
[include(틀:국민당(1971년))]0.34%낙선
5김동렬(金東烈)1524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0.31%낙선
선거인 수77,840투표율
63.34%
투표 수49,860
무효표 수955

장면 내각 시절 외무부장관을 역임한 신민당 정일형 후보가 당선되면서, 당시 전무후무한 7선 고지에 올랐다.


2.3. 서울특별시 제3선거구 (동대문구 갑)[편집]


서울특별시 제3선거구
창신동, 숭인동, 신설동, 보문동1가, 보문동2가, 보문동3가, 보문동4가, 보문동5가, 보문동6가, 보문동7가, 용두동, 제기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민관식(閔寬植)36,7172위

ta-hash-start=w-f85dc34c07c4426945b0c7d531131f8d[[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42.59%낙선
2송원영(宋元英)48,4561위

ta-hash-start=w-aa8dca2cf6b330e41c6da43a5beea921[[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56.21%당선
3여현탁(呂賢鐸)1966위

ta-hash-start=w-71157dd3e84690dc57d6b9eb9a7ac783[[파일:국민당(1971년) 흰색 로고타입.svg
0.22%낙선
4서정학(徐正學)3373위

파일:대중당 글자.svg

0.39%낙선
5김윤식(金允植)2654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0.30%낙선
6하병욱(河炳旭)2285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26%낙선
선거인 수133,987투표율
63.58%
투표 수87,604
무효표 수1,405

민주공화당 민관식 전 의원과 신민당 송원영 의원이 4년만에 다시 재대결을 펼쳤다. 이번에도 승자는 송원영 의원이었다.

민관식 전 의원은 서울지역의 야당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또다시 낙선했지만, 열흘뒤인 1971년 6월 4일 직후 문교부 장관으로 영전하면서 화려한 관직생활을 이어간다. 당시 김종필씨가 국무총리로 영전하면서 김종필 라인인 덕분에 임명되었다는 설이 있다.


2.4. 서울특별시 제4선거구 (동대문구 을)[편집]


서울특별시 제4선거구
청량리동, 전농동, 답십리동, 회기동, 휘경동, 이문동, 면목동, 상봉동, 중화동, 묵동, 망우동, 신내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상욱(姜尙郁)72,4372위

ta-hash-start=w-76350336f8c9ed0cd84f23b6fafcefa7[[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48.68%낙선
2유옥우(劉沃祐)75,0461위

ta-hash-start=w-7acd475a79343e57e8e633873db3c04f[[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50.43%당선
4송기철(宋基喆)3235위

파일:대중당 글자.svg

0.21%낙선
5김용대(金龍大)5053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0.33%낙선
6최종선(崔種旋)4884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32%낙선
선거인 수268,661투표율
61.51%
투표 수152,203
무효표 수3,404

전라남도 무안군(신안군 지역 포함)에서 3선 의원을 지낸 야권 중진인 유옥우 전 의원은, 지난 두 번의 국회의원 선거에서 고향 무안군에 출마했으나 연거푸 민주공화당 후보에게 밀렸다. 이에 이번 선거에서는 지역구를 서울로 옮겨 출마했고, 접전끝에 당선되었다.

5.16 군사정변의 주역 중 한 명인 공화당 강상욱 후보는 지난 총선에 옥중출마한 신민당 장준하 후보에게 패배했고, 이번 총선에서는 격차를 꽤 줄였으나 아깝게 다시 패배한다. 이후 10월 유신으로 인해 중대선거구로 개편되자 출마해 처음으로 지역구에서 당선된다.


2.5. 서울특별시 제5선거구 (성동구 갑)[편집]


서울특별시 제5선거구
흥인동, 무학1동, 무학2동, 충현동, 약수동, 청구동, 문화동, 동인동, 율원동, 금북동, 금남동, 옥수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봉중(鄭奉重)32,0812위

ta-hash-start=w-a117ed664342952281dd8bde953394ef[[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39.94%낙선
2양일동(梁日東)47,5931위

ta-hash-start=w-d157d577520c2e9085acc55d3d794007[[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59.26%당선
3이용구(李龍九)6313위

ta-hash-start=w-0fdb78d84798baf1fa33a94dd080a69a[[파일:국민당(1971년) 흰색 로고타입.svg
0.78%낙선
선거인 수133,460투표율
60.16%
투표 수82,353
무효표 수2,048

신민당의 중진인 양일동 전 의원이 무난히 당선되었다. 하지만 이후 진산 파동등을 거치며 신민당 유진산 총재와 갈등을 겪었고, 1973년 김홍일 등과 신민당을 탈당하여 민주통일당(약칭 통일당)을 창당해 총재를 맡는다.


2.6. 서울특별시 제6선거구 (성동구 을)[편집]


서울특별시 제6선거구
황학동, 유악동, 인창동, 현인동, 도선동, 홍익동, 당현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동, 행응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민병기(閔丙岐)33,1402위

ta-hash-start=w-a16adb956f28c621d4e83cb0ec9616cf[[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41.62%낙선
2홍영기(洪英基)45,8491위

ta-hash-start=w-1298377a927574130249fdab8e1d122a[[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57.58%당선
3최봉수(崔奉秀)6363위

ta-hash-start=w-d2ed45a52bc0edfa11c2064e9edee8bf[[파일:국민당(1971년) 흰색 로고타입.svg
0.79%낙선
선거인 수132,642투표율
60.16%
투표 수80,991
무효표 수1,366

독립운동가이자 군법무관, 변호사를 지낸 신민당 홍영기 전 의원이, 민영환 의사의 손자이자 고려대학교 교수인 공화당 민병기 후보를 여유있는 격차로 꺾고 당선되었다.

민병기 후보는 2년 뒤 중대선거구제로 치러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된다. 반대로 홍영기 당선자는 유신 이후 고문까지 당하고, 15년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 당선될때까지 국회에 복귀하지 못한다.


2.7. 서울특별시 제7선거구 (성동구 병)[편집]


서울특별시 제7선거구
성수1동, 성수2동, 장안동, 광의동, 신양동, 구천동, 선린동, 암사동, 성내동, 천호동, 송파동, 옥천동, 거문동, 원서동, 자현동, 세곡동, 도곡동, 사평동, 수도동, 탑곡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준규(朴浚圭)33,0262위

ta-hash-start=w-683ae2abe4399598f08a242429f54bdc[[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35.32%낙선
2정운갑(鄭雲甲)58,4511위

ta-hash-start=w-5763abe87ed1938799203fb6e8650025[[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62.52%당선
3홍용준(洪龍駿)8913위
0.95%낙선
4한용수(韓龍洙)2275위
0.24%낙선
6김종대(金種大)8894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95%낙선
선거인 수163,684투표율
63.58%
투표 수95,536
무효표 수2,052

2.8. 서울특별시 제8선거구 (성북구 갑)[편집]


서울특별시 제8선거구
성북1동, 성북2동, 동소문동, 삼선1동, 삼선2동, 삼선3동, 동선동, 남선동, 서선동, 북선동. 정화동, 동암동, 남암동, 서암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영철(申永澈)28,3172위
32.06%낙선
2조윤형(趙尹衡)58,7131위
66.47%당선
3윤병익(尹炳翼)1,0023위
1.13%낙선
6이영실(李榮實)2864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32%낙선
선거인 수150,496투표율
59.74%
투표 수89,911
무효표 수1,593

2.9. 서울특별시 제9선거구 (성북구 을)[편집]


서울특별시 제9선거구
종암동, 길음동, 인수동, 송천동, 삼양1동, 삼양2동, 화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인순(金仁淳)33,2812위
32.51%낙선
2서범석(徐範錫)67,0401위
65.50%당선
3신중목(愼重穆)1,6773위
1.63%낙선
6이권민(李權珉)3474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33%낙선
선거인 수199,467투표율
52.25%
투표 수104,219
무효표 수1,874

2.10. 서울특별시 제10선거구 (성북구 병)[편집]


서울특별시 제10선거구
월곡동, 장석동, 창동, 태릉동, 노원동, 도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대천(丁大天)23,8092위
26.88%낙선
2고흥문(高興門)63,9191위
72.18%당선
3한흥(韓興)4883위
0.55%낙선
4송순경(宋淳頃)3294위
0.37%낙선
선거인 수172,126투표율
52.38%
투표 수90,156
무효표 수1,611

2.11. 서울특별시 제11선거구 (서대문구 갑)[편집]


서울특별시 제11선거구
정동, 서소문동, 순화동, 의주로1가, 의주로2가, 합동, 미근동, 중림동, 만리동1가. 만리동2가, 충정로1가, 충정로2가, 충정로3가, 교남동. 평동. 송월동, 냉천동, 천연동, 옥천동, 홍파동, 교북동, 행촌동, 영천동, 현저동, 북아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유방(吳有邦)18,3662위
25.56%낙선
2김재광(金在光)52,5801위
73.19%당선
4현의암(玄義岩)3753위
0.52%낙선
5김경석(金景錫)2335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0.32%낙선
6김대석(金大石)2794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38%낙선
선거인 수123,117투표율
59.26%
투표 수72,956
무효표 수1,123

2.12. 서울특별시 제12선거구 (서대문구 을)[편집]


서울특별시 제12선거구
홍제동, 부암동, 신영동, 홍지동. 홍은동, 구기동, 평창동, 연희동, 대신동, 대현동, 신촌동, 봉원동, 창천동, 수색동, 상암동, 중동, 성산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임택근(任宅根)37,2102위
36.54%낙선
2김상현(金相賢)63,5751위
62.43%당선
3윤형남(尹亨南)5753위
0.56%낙선
4계성범(桂性範)1365위
0.13%낙선
6주만진(朱萬軫)3374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33%낙선
선거인 수178,096투표율
58.16%
투표 수103,587
무효표 수1,754

2.13. 서울특별시 제13선거구 (서대문구 병)[편집]


서울특별시 제13선거구
녹번동, 응암동, 불광동, 대조동, 갈현동, 구산동, 역촌동, 신사동, 증산동, 북가좌동, 남가좌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익상(吳益相)22,7892위
31.15%낙선
2윤제술(尹濟述)48,0831위
65.72%당선
3김산(金山)2,2843위
3.12%낙선
선거인 수139,562투표율
53.56%
투표 수74,745
무효표 수1,589

2.14. 서울특별시 제14선거구 (마포구)[편집]


서울특별시 제14선거구
마포구 일원[마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현옥(金玄玉)61,2012위
49.09%낙선
2노승환(盧承煥)62,2121위
49.90%당선
3고명관(高明觀)6013위
0.48%낙선
4노초진(魯初振)1126위
0.08%낙선
5최진원(崔鎭源)2684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0.21%낙선
6윤영덕(尹永德)2665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21%낙선
선거인 수197,918투표율
63.58%
투표 수125,828
무효표 수1,168

8대 총선 당시 서울 지역 최소표차 선거구인 동시에 최대 이변이 벌어진 지역. 여당인 민주공화당 김현옥 후보는 1966년부터 1970년까지 서울시장을 지낸 거물이었고, 이에 맞선 신민당 노승환 후보는 1958년 서울시의원에 한번 당선되었던 무명에 가까운 인물이었으나 개표 결과 1,011표 차이로 노 후보가 당선되었다.

2.15. 서울특별시 제15선거구 (용산구)[편집]


서울특별시 제15선거구
용산구 일원[용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신(金信)38,9572위
38.24%낙선
2김원만(金元萬)62,2731위
61.13%당선
5한상필(韓相弼)6323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0.62%낙선
선거인 수173,161투표율
59.68%
투표 수103,338
무효표 수1,476

2.16. 서울특별시 제16선거구 (영등포구 갑)[편집]


서울특별시 제16선거구
흑석 1,2,3동, 사당 1,2동, 잠원동, 서초동, 양재동, 봉천 1,2,3,4동, 본동, 노량진 1,2동, 상도 1,2,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덕진(張德鎭)74,6171위
57.01%당선
2박정훈(朴正勳)54,7612위
41.83%낙선
3왕제광(王濟匡)5724위
0.43%낙선
4이천재(李天宰)1405위
0.10%낙선
5김환기(金煥沂)7943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0.60%낙선
6박기수(朴基秀)-등록무효
[include(틀:통일사회당)]-
선거인 수213,409투표율
62.09%
투표 수132,507
무효표 수1,623

2.17. 서울특별시 제17선거구 (영등포구 을)[편집]


서울특별시 제17선거구
신길 1,2,3,4동, 대방 1,2동, 신대방동, 신도림동, 신림 1,2,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찬혁(李贊赫)19,3882위
25.64%낙선
2김수한(金守漢)54,6511위
72.28%당선
3민병길(閔丙吉)7983위
1.05%낙선
4노기만(盧己萬)4864위
0.64%낙선
6백철(白哲)2845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37%낙선
선거인 수137,101투표율
56.19%
투표 수77,039
무효표 수1,432

2.18. 서울특별시 제18선거구 (영등포구 병)[편집]


서울특별시 제18선거구
영등포 1,2,3동, 당산 1,2동, 도림 1,2,동, 문래 1,2동, 양평 1,2동, 가양동, 신정동, 화곡 1,2동, 염창동, 본산동, 공항동, 방화동, 과해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효원(趙孝源)42,0632위
40.80%낙선
2박한상(朴漢相)60,3671위
58.55%당선
3박태흠(朴泰欽)3074위
0.29%낙선
4박승현(朴昇鉉)3573위
0.34%낙선
선거인 수175,119투표율
60.16%
투표 수105,357
무효표 수2,263

2.19. 서울특별시 제19선거구 (영등포구 정)[편집]


서울특별시 제19선거구
구로 1,2,3동, 고척동, 개봉동, 오류동, 가리봉동, 신정 1,2,3동, 시흥 1,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충훈(朴忠勳)35,0462위
47.32%낙선
2윤길중(尹吉重)38,4421위
51.91%당선
4전금웅(田今雄)-등록무효
-
5송석화(宋錫化)2564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0.34%낙선
6장귀남(張貴男)3093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41%낙선
선거인 수122,548투표율
61.51%
투표 수75,376
무효표 수1,323

[종로] 종로4가동, 가회동, 누상누하동, 신문로동, 옥인동, 평창동, 삼청동, 세종로(세종로, 내수동, 도염동, 당주동), 이화동, 효자동, 안국동, 낙원동, 종로3가동, 권농동, 백록동, 혜화동, 명륜2,4가동[중구] 덕수동, 흥천동, 청계동, 대창동, 숭남동, 도동, 동자동, 회현1가1동, 회현1가2동, 회현2, 3가동, 남산동, 남곡동, 충무로1, 2가동, 명동, 영희동, 을지로2, 3가동, 동원동, 충인동, 야현동, 인현1가동, 악선동, 장충1가동, 장충2가동, 쌍림동, 광희1가동, 광희2가동, 을지로4가동, 훈련동, 을지로6, 7가동, 훈도동, 산림동, 주교동[마포] 아현1,2,3동, 공덕1,2동, 신공덕동, 용강동, 신수동, 창전동, 상수동, 서교동, 동교동, 합정동, 대흥동, 염리동, 망원동, 노고산동, 도화동[용산] 후암동, 갈월동, 남영동, 용산동1~6가, 한강로 1,2,3가, 동빙고동, 서빙고동, 주성동, 청파동, 청계동, 청파동 1~3가, 문배동, 신계동, 원효로 1~4가, 신창동, 산청동, 청암동, 효창동, 도원동, 용문동, 이촌1동, 이촌2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한남동, 보광동